예제01
변수 a에 숫자 자료형 값 3을 , 변수 b에 숫자 자료형 값 5를 저장하고 a, b 두 변수의 값을 더한 값과 곱한 값 각각을
add와 mul이라는 변수에 저장한다. 그리고 더한 값과 곱한 값을 저장하고 있는 add와 mul 두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
분석과 풀이
1. 3과 5를 각각 a와 b로 만든다
a = 3
b = 5
2. 그리고 a와 b를 각각 더한 값과 곱한 값을 add와 mul에 저장한다
add = a + b
mul = a * b
3. 그리고 출력한다.
print(add,mul)
순서도

결과

예제02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두 수를 변수 a와 b에 저장하고, 두 변수를 더한 값과 곱한 값을 출력한다.
분석과 풀이
1. input a와 input b로 사용자로 부터 두 수를 입력 받는다 하지만 input은 자료형이기 때문에 정수형인 int함수를 넣는다
2. print(a + b)로 두 수를 더한 값을 출력한다.
3. print(a * b)로 두 수를 곱한 값을 출력한다.
순서도

결과

예제03
두 수를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고, 두 수를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자인 //과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인 %를 이용해서 두 수의 몫과 나머지를 구하여 출력한다.
/는 나누기 연산자이고 //는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자이다.
분석과 풀이
사용자로 부터 입력받은 두수를 각각 a = int(input()) 와 b = int(input()) 로 저장하고 두 수를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자인 // 와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인 %
를 이용해서 각각 print 를 이용해 출력한다.
1. 사용자로 부터 입력받은 두수를 각각 a =int(input()) 와 b = int(input()) 에 저장
2. print(a // b) 를 이용해 출력
3. print(a % b) 를 이용해 출력
순서도

결과

예제04
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각형의 넓이 = 가로의 길이 × 세로의 길이
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에 해당하는 임의의 두 정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변수에 저장하고, 사각형 의 넓이를 구하여 출력한다.
분석과 풀이
사용자로 부터 입력받은 가로와 세로 길이를 각각 width = int(input()) 와 vrtic = int(input(l)) 에 저장하고 사각형의 넓이는
사각형의 넓이 = 가로의 길이 × 세로의 길이 이므로 print(width * vrtic) 을 이용해 출력한다.
정리
1. 사용자로 부터 입력받은 가로와 세로 길이를 각각 width = int(input()) 와 vrtic = int(input(l)) 에 저장
2. 사각형의 넓이는 사각형의 넓이 = 가로의 길이 × 세로의 길이 이므로 print(width * vrtic) 을 이용해 출력
순서도

결과

예제05
원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원의 넓이 = 반지름 × 반지름 × 원주율
반지름에 해당하는 임의의 정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입력 받아 변수에 저장하고, 원의 넓이를 구하여 출력한다.
분석과 풀이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은 (원의 넓이 = 반지름 × 반지름 × 원주율) 이므로 사용자에게 임의의 정수를 변수 ra에 저장하여
print(ra * ra * 3.14)을 이용해 출력한다.
정리
1.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은 (원의 넓이 = 반지름 × 반지름 × 원주율)
2. 사용자로 부터 반지름을 ra = int(input()) 에 저장
3. print(ra * ra * 3.14)로 출력
순서도

결과

예제06
3개의 성적을 입력받아 a, b, c에 저장하고 이들의 합과 평균을 구해 출력한다.
분석과 풀이
3개의 성적을 각각 a = int(input()) 와 b = int(input()) c = int(input()) 로 사용자에게 입력받아 저장하고 이들의 합을 print(a + b + c)
로 출력하고 print((a + b + c)/3) 를 이용해 출력한다.
정리
1. 3개의 성적을 각각 a = int(input()) 와 b = int(input()) c = int(input()) 로 사용자에게 입력받아 저장
2. 평균 print((a + b + c)/3) 출력
# 알아 낸거 #
계속 print((a + b + c)/3) 출력으로 출력하면 소수점까지 나오길래 이걸 없애는 방법이 뭘까 생각하다 int(정수)를 쓰면 소수점을 없앨수 있지않을까 해서 만들었더니 나오지않았다 맞는지는 잘모르겠다...
print(int((a + b +c)/3))
순서도

예제07
183cm를 미터와 센티미터로 변환하면 1m 83cm가 된다. 여기서 미터에 해당하는 1은 183을 100으로 나눈 몫이고, 센터미터에 해당하는 83은 183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이다. 이런 방법을 이용해서 m는 cm//100로, cm는 cm%100로 구할 수 있고, 이렇게 구해진 m와 cm를 출력한다.
분석과 풀이
183cm 를 미터와 cm 로 각각 출력해야 함으로 183을 변수 height에 저장한다. 미터는 183을 100으로 나눈 몫이니 출력할려면
m = (height //100) 센터미터에 해당하는 83은 183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 이므로
cm =(height % 100) 로 새로운 변수를 준다
그 뒤 print("%dm %dcm" % (m, cm))
정리
1. 183cm 를 미터와 cm 로 각각 출력해야 함으로 183을 변수 height에 저장
2. 미터는 183을 100으로 나눈 몫이니 출력할려면 m = (height // 100)
3. 센터미터에 해당하는 83은 183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 cm =(height % 100)
4. print("%dm %dcm" % (m, cm))
# 알아 낸거 #
원래는 print(m,cm) 만 쓸려했는데 m와 cm를 뒤에 붙이고 싶어서 인터넷에서 알아본결과
%d 를 쓰면 뒤에 변수값만 입력하면 변수가 %d대신 들어간다고 해서
print("%dm %dcm" % m, cm)를 썻더니 안됬다... 뭐지 하고 보니깐
m 와 cm를 ()로 묶으니깐 됐다! print("%dm %dcm" % (m, cm))
순서도

결과

예제08
1시간은 3600초임을 이용해서 먼저 초를 3600으로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을 이용해서 시 간에 해당되는 값을 구한다. 그 다음 초를 3600으로 나눈 나머지 연산을 이용하여 시간으 로 변환되고 남은 초를 구한다. 초를 60으로 나눈 몫으로 분에 해당되는 값을 구하고, 초 를 60으로 나눈 나머지로 초에 해당되는 값을 구한다.
분석과 풀이
1시간은 3600초임을 이용해서 먼저 초를 3600으로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을 이용해서 시간에 해당되는 값을 구할려면
일단 사용자에게 초를 받아야 한다는걸 인식
만약 사용자에게 5000이라는 초를 받는다면 5000 / 3600의 값은 1이 나옴으로
1시라는걸 알 수 있다 그뒤 분을 구하고 싶으면 5000/3600 결과값의 나머지 초를 구하고 분은 60초 이므로
그 초를 60으로 나눈 몫은 분이라는걸 알수있다
그 뒤 초를 알고싶으면 분을 구한 몫의 나머지가 초라는걸 알수 있다.
정리
1. 사용자게 원하는 초를 받는다 time = int(input("초를 입력하세요 : "))
2. 결과 값으로 변환 되고 남은 초를 구한다. 이때 변수를 두는 방법과 time에 값을 추가하는 방법 2가지가 있다.
1) 변수를 만들어 남은초를 구하고싶다면 변수 x에 나머지 변수를 이용해 하는 방법이 있다. x = time % 3600
2) 변수를 이용하지 않고 값을 (할당)업데이트 하는 방법이 있는데 time %= 3600 을 이용하면
time 변수가 3600(즉, 1시간)보다 클 때 그 나머지 분를 계산 할수있다.
3. 만약 변수를 이용해서 초를 구했다면 1분은 60초이기 떄문에minute = x / / 60 을 이용하면 분을 구할수 있고 변수를 이용하지 않았다면 minute = time // 60 으로 구할 수 있다.
4. 초는 분을 구하고 난 나머지이므로 second = x % 60 을 이용하면 구할 수 있고 변수 이용하지 않았다면 마찬가지로 second = time % 60 으로 구할 수 있다.
5. 출력 print("%d시간 %d분 %d초" % (hour, minute, second))
순서도
# 처음에는 순서도 짜는게 어려워서 직사각형 상자로만 만들었는데
이제는 연습도 할겸 기호에 맞게 순서도를 작성해보도록하겠다!

결과

과제01
두 수를 입력 받아 뺄셈을 한 결과를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분석과 풀이
두 수를 입력 받아 뺼셈을 한 결과를 받을려면 a = int(input("첫번 째 수 : ")) b = int(input("두번 째 수 : ")) 를 만들고
subtraction 이라는 변수를 만들어 subtraction = a - b 를 만든다 그 뒤 출력할려면
print("결과",subtraction)
정리
1. a = int(input("첫번 째 수 : ")) b = int(input("두번 째 수 : "))
2. subtraction = a - b
3. print("결과",subtraction)
순서도

결과

과제02
밑변과 높이를 입력 받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해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 프 로그램을 작성하여라
분석과 풀이
밑변과 높이를 사용자에게 각각 입력 받는다 그 뒤 삼각 형의 넓이를 구할려면 밑변과 높이를 곱하고 / 2 를 해야함으로
밑변과 높이를 변수로 만들어 사용자에게 입력받은 정수를 곱하고 / 2 하는 코드를 만들고 변수를 만든다 그 뒤 출력한다.
정리
1. base = int(input("밑변 : ")) height = int(input("높이 : "))
2. area = int((base * height) / 2)
3. print("삼각형 넓이",area)
순서도

결과

과제03
반지름을 입력 받아 원의 둘레를 구해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분석과 풀이
반지름을 이용해서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은 C=2πr 여기서 C는 원의 둘레 r은 반지름 π (파이)는 약 3.14159 이므로
사용자에게 반지름을 받아서 원의 둘레를 구할려면 r = int(input("반지름 : ")) 으로
사용자에게 반지름을 받아 2 * (약)3.14 를 구하고 그 값을 출력하면 된다.
정리
1. r = int(input("반지름 : " ))
2. C = area = ((2 * 3.14 * r) / 2 )
3. print("원의 둘레 : ",C )
순서도

결과

과제04
미터 단위의 길이를 입력받아 킬로미터와 미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순서도 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분석과 풀이
미터 단위의 길이를 입력 받아 킬로미터와 미터로 변환하여 출력할려면 사용자에게 미터를 사용자에게 입력 받는 코드를 만든다 a = int(input("미터를 입력하세요 : "))
그 뒤 킬로미터를 구할려면 킬로미터는 1000m 이므로 변수 a 을 1000으로 나눈 몫이 km라는걸 알 수 있다.
그 값의 나머지 값은 m로 정의 할수 있다.
정리
1. user_street = int(input("미터를 입력하세요 : "))
2. km = user_street // 1000
3. m = user_street % 1000
4. 출력 print("%dKm %dm " % (km, m))
순서도

결과

과제05
분 단위의 시간을 입력받아 일, 시간, 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순서 도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분석과 풀이
분 단위의 시간을 입력받아 일, 시간, 분으로 출력하는 순서도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할려면 사용자에게 분을 입력받는 코딩을 먼저 만들고 사용자에게 원하는 분을 받는다
total_min = int(input("분을 입력하세요 : "))
그 뒤 하루는 24시간 이걸 분으로 환산하면 24시간×60분/시간=1440분 이므로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값 / 1440의 몫이 일 을 계산하는 코드라는걸 알 수 있다. 이걸 코드로 변환 하면 date = total_min // 1440 이 된다.
시간을 구하고 싶으면 분을 이용해서 일을 구한 값의 나머지를 60분으로 나누면 된다.
hour = (total_min % 1440) // 60)
그리고 분을 구할려면 총 분에서 일 수와 시간에 해당하는 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계산한다.
minute = (total_min% 1440) % 60)
정리
1. 입력 total_min = int(input("분을 입력하세요 : "))
2. '일'을 구하는 코드 date = int( total_min // 1440))
3. '시간'을 구하는 코드 hour = total_min % 1440) // 60)
4. '분'을 구하는 코드 minute = int((total_min % 1440) % 60)
순서도

결과

'문제풀이 > python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풀이 3.반복구조 예제 24번까지 (0) | 2024.08.04 |
---|---|
달력만들기 (0) | 2024.07.29 |
문제풀이 2.선택구조 예제부터 과제까지 (0) | 2024.07.26 |